요즘 일본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.
책을 보다보니 아래와 같은 문장이 보입니다.
あの傘は誰のですか? (아노 카사와 다레노데스카?) 는
➡ 저 우산은 누구의 것인가요? 라는 의미로 해석이 된답니다.
단어별 의미:
- あの (아노) → 저 (화자와 청자 모두에게서 떨어져 있는 대상)
- 傘 (かさ, 카사) → 우산
- 誰 (だれ, 다레) → 누구
- の (노) → "~의" (소유를 나타내는 조사)
- ですか (데스카) → "~인가요?" (정중한 의문 표현)
즉, "저 우산은 누구의 것인가요?" 라고 물을 때 사용합니다.
헌데, 단어별로 살펴보면 "~것"이라는 단어는 아무리 찾아봐도 없는데 어떻게 위와 같이 해석이 될까요?
일본어에서 "~의 것"이라는 의미를 표현할 때,
우리말처럼 "것"이라는 단어가 직접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맥락상 자연스럽게 해석됩니다.
あの傘は誰のですか? (아노 카사와 다레노 데스카?)
➡ "저 우산은 누구의 것인가요?"를 다시 살펴보면,
1. 'の(노)'의 역할
일본어에서 の(노) 는 소유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.
'誰の' (다레노) 는 '누구의' 라는 의미로, 뒤에 명사가 생략될 경우 '누구의 것 으로 해석됩니다.
예문 비교:
- あの傘は誰の傘ですか?
→ "저 우산은 누구의 우산인가요?" (직역) - あの傘は誰のですか?
→ "저 우산은 누구의 것인가요?" (자연스러운 해석)
위 두 문장을 보면, 誰の傘 (다레노 카사, 누구의 우산) 에서 傘(카사, 우산) 이 생략되었지만, 문맥상 생략된 단어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"누구의 것" 으로 번역됩니다.
2. "です(데스)"의 역할
です(데스)는 일본어에서 정중한 표현으로, "~입니다" 또는 "~인가요?" (의문형)로 사용됩니다.
결과적으로,
➡ "あの傘は誰のですか?"
➡ "저 우산은 누구의 (것)인가요?"
➡ "저 우산은 누구의 것인가요?"
일본어에서는 명사가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앞에서 언급된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"誰のですか?" 는 "誰の(우산)ですか?" 의 축약형으로, 우리말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면 "누구의 것인가요?" 가 되는 것입니다.
'일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일본어의 1인칭과 2인칭 어휘 및 사용법 (0) | 2025.02.07 |
|---|